사본 -SRT 굿즈 자료 사진 SRT 굿즈
SR, 국민브랜드로 지역 중기 등과 민간경제 활력 견인
고속철 SRT 운영사 SR은 SRT 굿즈를 생산하는 ㈜코이로, 서울가죽소년단, 제주공심채 3개 기업이 중소벤처기업부 ‘레전드 50+ 프로젝트’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중기부 ‘레전드 50+ 프로젝트’는 현 정부의 지역 중소기업 육성 정책의 새로운 모델로 중기부와 지방정부, 지역혁신기관이 정책역량을 집중해 지역 중기 성장 및 중기 중심의 지역경제 구조 형성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레전드 50+’는 지역별로 21개 특화프로젝트에 3년간 총 8400억 원을 투입하며 중기부 창업진흥기금융자, 스마트공장, 중소기업혁신바우처, 수출바우처, 창업사업화 지원 사업과 지자체 협업까지 패키지로 지원해 중소기업이 수출과 매출의 50% 이상이 되도록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RT 굿즈팀은 ㈜코이로(라이프스타일 SRT 굿즈 제작)와 서울가죽소년단(가죽제품 SRT 굿즈 제작)이 서울시 ‘서울패션제조업의 글로벌 성장프로젝트에, 제주공심채(식음료 SRT 굿즈 제작)가 제주도 ‘청정 바이오기업 스케일업 프로젝트’에 선정돼 3년간 집중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한편 SRT 굿즈는 지역의 중소기업이나 사회적 기업에 ‘SRT’ 브랜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SR은 ‘기획과 마케팅 지원’을, 참여 기업은 ‘제작과 판매’를 담당하며 여행과 철도 굿즈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2023년 SRT 굿즈팀에는 총 8개 사회적 기업이 참여했으며 신규 굿즈 58종을 개발하고 이탈리아 밀라노 가죽패션쇼에 참가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패션쇼 참가이후 SRT 굿즈는 일본, 미국, 대만 등과 수출 협의를 하는 등 해외 진출도 가시화되고 있다.
SRT 굿즈는 공공의 자산인 ‘SRT’ 브랜드 가치를 활용go 기업 이미지 재고와 민간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으며, 사회적 기업, 여성기업 등을 대상으로 제품을 사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만들고 함께 판매한다는 컨셉으로 공공기관 사회적 가치 증대에 새로운 체계를 열어가고 있다.
이종국 SR 대표이사는 "국민철도 운영사로서 철도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것뿐만 아니라 SR의 유무형자산을 활용해 지역사회와 민간경제 활성화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박정민 기자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25377
중기부, 지역특화 프로젝트 ‘레전드 50+’ 본격 추진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일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지역특화사업(프로젝트) ‘레전드 50+’ 통합공고를 했다.
‘레전드(Region+end) 50+’는 지역 고유의 특색과 강점을 살린 지역별특화사업(프로젝트)을 광역자치단체에서 기획하면, 중소벤처기업부가 정책수단을 결집해 3년간(2024~2026) 집중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역중소기업 육성 대표 정책 상표(브랜드)다.
‘레전드(Region+end)’는 지역을 뜻하는 리전(Region)과 종결(끝)의 의미를 지닌 엔드(end)의 합성어로, 지역특화사업(프로젝트)을 통해 지역기업을 육성해 지역의 현안과 미래 먹거리를 끝까지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이번 통합공고는 2024년도 제1호 공고로서 ‘레전드 50+’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한국경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①수출액 ②매출액 ③비수도권 매출액 비중을 2027년까지 50% 이상 달성하겠다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강한 의지가 담겨 있다.
17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지역의 강점을 살릴 프로젝트가 한 개씩 선정돼 추진되고, 광주·경기·충북·경남에서는 두 개 프로젝트가 선정돼 지역의 강소기업 육성과 미래 먹거리 창출에 이바지하게 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에 대한 지원과 성과 달성을 위해 정책자금, 지능형공장, 혁신 바우처, 수출 바우처 등의 핵심 정책수단을 올해 2,790억원 규모로 프로젝트 참여기업에 우대 지원한다.
여기에 더해 17개 광역자치단체에서도 기술닥터·인력 양성·인프라 구축 등에 약 800억원(2024년)을 지원하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의 지역혁신기관들의 다양한 정책수단도 연계 지원할 방침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작년 11월 2일 제1회 지역혁신대전에서 17개 광역자치단체와 ‘레전드 50+’프로젝트 추진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만큼, 지방정부 및 지역혁신기관과의 협업을 더욱 강화해 지역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반드시 일궈내겠다는 방침이다.
21개 지역특화 프로젝트의 사업 내용,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지원 조건 등은 통합공고 이후(1.8.~12.) 실시되는 프로젝트별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업(프로젝트)에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중소기업은 프로젝트별 공고 시 참여신청서를 작성해 주관기관에 제출하면 선정 평가 과정을 거쳐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김우중 지역기업정책관은 “지역중소기업 육성의 주무부처로 지역의 혁신중소기업을 육성하는 선도적인 롤 모델인 ‘레전드 50+’ 프로젝트의 차질 없는 이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언급한 후,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힘을 합쳐 지역의 혁신 성장과 경쟁력을 제고할 새로운 정책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통합공고의 세부 내용은 본 사업의 전담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누리집과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별 참여 및 지원에 관한 사항은 해당 광역자치단체 및 주관기관에 문의해 확인할 수 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